모든 전자기기는 사용 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윈도우의 경우 악명 높은 블루스크린이 있죠. 이처럼 애플 기기인 아이폰도 사용 중에 소프트웨어 오류가 발생되어 멈추거나 터치가 되지 않는 등 오류가 발생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강제 종료라는 것이 필요하죠. 이 글에서는 아이폰 홈버튼이 있는 모델, 터치 아이디를 사용하는 모델, 홈버튼이 없는 아이폰 모델 등 각각의 기기에서 강제 종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홈버튼이 없는 아이폰 강제 종료하는 방법 (아이폰14, 아이폰 13, 아이폰 12, 11, XS, X)
홈버튼은 아이폰의 시그니쳐와도 같은 부품이었습니다. 동그란 버튼으로 디자인 특허를 낼 정도였으니 말이죠. 실제로 아이폰 자가수리를 위해 직구를 할 때도 홈버튼이 결합되는 동그란 구멍 부위가 특허가 있어서 테이프로 가려서 통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이폰 X 시리즈 부터는 홈버튼을 삭제하였습니다. 같은 크기에서도 화면을 더 키우기 위한 노력이었죠.
하지만 그러면서 부터 기존의 강제 종료 방법은 사용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새롭게 만든 방법이 바로 측면에 있는 볼륨 버튼과 전원버튼(잠자기/깨우기, 시리버튼)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 아이폰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아이폰X, 아이폰 XS, 아이폰 11, 아이폰 12, 아이폰13, 아이폰14 등 현재 나오고 있는 최신 모델까지 적용됩니다.
이들 아이폰을 강제 종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왼쪽 측면 볼륨버튼 중에서 볼륨 올리기 버튼 1번 눌렀다가 떼기
- 볼륨 내리기 버튼 1번 눌렀다 떼기
- 우측면의 전원버튼 길게 누르기
- 이때 전원버튼을 8초정도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 전원이 꺼지고 애플로고가 나오는데 애플 로고가 나타나면 버튼에서 손을 떼주세요.
위 와 같은 방법으로 강제 종료 및 재부팅을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주의: 애플 로고가 나타났음에도 전원버튼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리커버리 모드에 진입될 수 있습니다.)
아이폰7, 아이폰 8 강제 종료하는 방법
아이폰 7과 아이폰 8 시리즈는 홈버튼은 있지만 스위치 방식이 아닌 감압 센서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눌리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기기가 먹통인 상황과 같은 경우에는 홈버튼이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기에 강제 종료시 홈버튼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좌측면의 볼륨버튼 중에서 볼륨 내리기 버튼
- 우측면의 전원 버튼
- 이 두가지를 동시에 눌러서 누른 상태를 유지한 뒤 애플로고가 나타나면 떼기
아이폰6, 아이폰6s 등 물리 홈버튼 모델 강제 종료하는 방법
이들 모델은 전통적인 방식인 홈버튼과 전원버튼을 이용해서 강제 종료를 실시합니다.
- 홈버튼과 전원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애플로고가 나타날때까지 누른 상태 유지하기
이렇게해서 모든 아이폰 유형의 전원 강제 종료 및 재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설명이 난해하거나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애플 홈페이지에 설명된 자료를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폰 무한사과 부팅 멈춤 먹통 벽돌 증상의 원인과 해결방법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정보와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무한사과 부팅 멈춤 먹통 벽돌 증상의 원인과 해결방법은? (0) | 2023.05.01 |
---|---|
대한민국 헌법상 국민의 권리와 의무 5가지 (0) | 2023.05.01 |
스마트폰 디자인 변화의 역사와 앞으로의 미래 디자인 (0) | 2023.04.11 |
아이폰에 탑재되고 있는 최신 기술과 기능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0) | 2023.04.10 |
아이폰의 역사와 변화 및 발전해 온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10 |
댓글